블로그

[와이즈인컴퍼니 : 스터디 스토리] 제9호 : Process Macro Model 9에 대해서 알아보자

등록일

2025-10-13

조회수

101

지혜는 경험에서 나온다고 합니다. 와이즈인컴퍼니에선 좋은 경험이 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젝트 사례들을 주기적으로 보내드리고 있습니다. 받으시는 여러분의 사업과 업무에 지혜가 가득하길 바랍니다. 더 많은 솔루션을 원하신다면 와이즈인컴퍼니에 메일회신 또는 연락부탁드립니다.
스터디 스토리
 2025년 10월 2주차
 Process Macro model 9에 대해서 알아보자

지혜는 경험에서 나온다고 합니다.

와이즈인컴퍼니에선 연구 논문을 바탕으로 연구자분들이 참고하실 수 있는 자료를 주기적으로 보내드리고 있습니다. 받으시는 여러분의 업무와 연구에 지혜가 가득하길 바랍니다.

더 많은 솔루션을 원하신다면 와이즈인컴퍼니에 메일회신 또는 연락부탁드립니다.

오늘은 어떤걸 공부할거야?


오늘은 PROCESS macro의 모델 9번을 살펴보겠습니다.

 

이 모형은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으로, 두 개의 조절변수(W, Z) 가 동시에 독립변수(X) 매개변수(M) 경로를 조절하는 구조예요.

 

,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WZ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고, 그 결과 간접효과(X M Y) 역시 조건부로 달라진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모델 9번은 모델 7, 8번이랑 비슷한 것 같아!


맞아요! 하지만 중요한 차이가 있어요.

  • 모델 7: 한 개의 조절변수가 X M 경로만 조절
  • 모델 8: 한 개의 조절변수가 X M 경로와 X Y 직접경로를 모두 조절
  • 모델 9두 개의 조절변수(W, Z) X M 경로를 함께 조절

모델 9번은 조절변수의 수가 늘어나면서 매개효과의 첫 단계(XM)에서 조건부 효과를 더 정교하게 볼 수 있는 모형이에요.

[PROCESS macro  모델 9번]  


연구모형을 설정하기 전에, 적절한 이론적 논의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점 명심하세요!

같이 분석해보자!


첫 번째로 모델 넘버(Model number)를 9로 설정합니다. 다음으로 독립변수, 종속변수, 매개변수, 조절변수를 차례대로 투입하면 모델 설정은 끝이에요! 다음으로 매개효과에 필요한 옵션을 선택한 후, 확인을 클릭하면 됩니다!

[Process Macro 분석창]

 

분석이 끝나면 출력되는 결과를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어요. 그러면 이제 같이 분석 결과를 해석해 볼까요?

[분석 결과]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미치는 영향은 B=0.706(p<0.001)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다음으로 해당 경로에서 상호작용항을 살펴볼게요. 독립변수와 매개변수의 관계에서 조절변수(W)의 상호작용항(X*W)B=-0.156 (p<0.001)로 조절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어요. 조절변수(Z)의 상호작용항(X*Z)B=-0.142 (p<0.001)로 조절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어요. , 조절변수는 독립변수와 매개변수 사이를 약화하고 있어요.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은 B=0.297(p<0.001)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은 B=0.609(p<0.001)로 나타나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어요.

 

마지막으로, 독립변수가 매개변수를 거쳐 종속변수에 이르는 경로의 간접효과를 검증하고자 했어요.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독립변수의 간접효과 크기나 방향이 조절변수 수준에 따라 변하게 되며 이것을 조건부 간접효과라고 해요.

 

조건부 간접효과표를 살펴보면 모든 경로에서 간접효과의 95% 신뢰구간에서 0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어요. 조절변수의 Effect(B)를 살펴보면 조절변수(W)가 감소할수록 영향력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조절변수(Z)0보다 1일 때 영향력이 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마지막으로, 조절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최종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이 필요해요. 조절변수(W)의 조절된 매개지수는 B=-0.095[CI(-0.134~-0.059)]로 나타났고, 조절변수(Z)의 조절된 매개지수는 B=-0.086[CI(-0.164~-0.015)]으로 확인되었어요. 결과적으론 두 조절변수 모두 95% 신뢰구간에서 ‘0’을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에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답니다.

이번 소식도 재미있으셨나요?

 

오늘은 모델 9번을 살펴보았습니다.
이 모형은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으로, 두 개의 조절변수(W, Z)가 독립변수(X)와 매개변수(M) 사이를 함께 조절하는 구조였습니다.


벌써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을 세 가지(모델 7, 8, 9) 나 소개해 드렸네요. 아직 다룰 모형들이 많이 남아 있으니, 앞으로도 차근차근 함께 공부해 가면 좋겠습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 새로운 모형으로 다시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