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와이즈인컴퍼니 : 스터디 스토리] 제4호 : Process Macro Model 4에 대해서 알아보자

등록일

2025-07-22

조회수

1

지혜는 경험에서 나온다고 합니다. 와이즈인컴퍼니에선 좋은 경험이 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젝트 사례들을 주기적으로 보내드리고 있습니다. 받으시는 여러분의 사업과 업무에 지혜가 가득하길 바랍니다. 더 많은 솔루션을 원하신다면 와이즈인컴퍼니에 메일회신 또는 연락부탁드립니다.
스터디 스토리
 2025년 7월 3주차
 Process Macro model 4에 대해서 알아보자

지혜는 경험에서 나온다고 합니다.

와이즈인컴퍼니에선 연구 논문을 바탕으로 연구자분들이 참고하실 수 있는 자료를 주기적으로 보내드리고 있습니다. 받으시는 여러분의 업무와 연구에 지혜가 가득하길 바랍니다.

더 많은 솔루션을 원하신다면 와이즈인컴퍼니에 메일회신 또는 연락부탁드립니다.

오늘은 어떤걸 공부할거야?

오늘도 프로세스 매크로(PROCESS macro) 모델 4번을 통해서 매개효과에 대해서 알아볼거에요. 매개효과는 독립변수(X)가 종속변수(Y)에 영향을 미칠 때, 3의 변수인 매개변수(M)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해요.

매개효과와 조절효과의 차이점이 궁금해!

독립변수(X)가 종속변수(Y)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는 통계 분석에서 이런 인과관계를 자주 봅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단순한 영향만 있는 게 아니라, 그 영향이 어떻게전달되는지, 또는 어떤 조건에서달라지는지도 매우 중요해요

 

바로 이걸 설명하는 개념이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랍니다!

 

매개효과(Mediation Effect)는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칠 때, 그 영향이 제3의 변수(매개변수)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되는 현상을 의미해요.

 

독립변수(X)가 종속변수(Y)에 영향을 미치는데, 그 사이에 매개변수(M)가 작동한다.”


매개효과는 영향이 전달되는 과정에 주목합니다. 독립변수(X)가 종속변수(Y)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그 사이에 매개변수(M)가 개입되어 간접적인 경로로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죠. 이 과정에서 매개효과가 클수록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어요.

 

조절효과(Moderation Effect)는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나 방향이 제3의 변수(조절변수)에 따라 달라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독립변수(X)가 종속변수(Y)에 영향을 미치긴 하지만, 그 강도는 조절변수(W)에 따라 다르다.”


, 조절효과는 관계의 조건을 설명해요. 독립변수(X)와 종속변수(Y) 사이의 관계가 조절변수(W)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 핵심이에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 관계가 어떤 조건에서 더 강화되거나 약해지는지를 설명하죠. 조절변수(W)는 독립변수(X)와 종속변수(Y) 간의 관계의 강도나 방향을 변화시켜요.


매개효과와 조절효과의 차이가 이해되셨다면 좋겠네요!

매개효과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고싶어

 

지금부터 소개할게요! 앞서 말했듯이, 매개효과는 독립변수(X)가 종속변수(Y)에 영향을 미칠 때, 3의 변수인 매개변수(M)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되는 과정을 의미해요. 

[PROCESS macro 모델 4번]  


연구모형을 설정하기 전에, 적절한 이론적 논의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점 명심하세요!

같이 분석해보자!


좋아요! 첫 번째로 모델 넘버(Model number)4 설정합니다. 다음으로 독립변수, 종속변수, 매개변수를 순차적으로 투입하면 모델 설정은 끝이에요! 다음으로 매개효과에 필요한 옵션을 선택한 후, 확인을 클릭하면 됩니다!

[Process Macro 분석창]

 

분석이 끝나면 출력되는 결과를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어요. 그러면 이제 같이 분석 결과를 해석해볼까요?

[분석 결과]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미치는 영향은 B=0.253(p<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은 B=0.248(p<0.001)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은 B=0.779(p<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어요.

 

마지막으로, 독립변수가 매개변수를 경유하여 종속변수에 이르는 경로의 간접효과는 B=0.197로 나타났어요. PROCESS macro에서 사용하는 부트스트래핑 방식은 유의확률(p-value)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95% CI(Confidence Interval)을 확인해야해요.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기 위해서는 부트스트래핑신뢰구간(BootLLCI, BootULCI)에서 0이 포함되지 않아야 유의확률(p-value)0.05 미만보다 작은 것으로 보고 있어요. 검토 결과, 하한 신뢰구간(BootLLCI= 0.145)과 상한 신뢰구간(BootULCI= 0.250) 사이에 0이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매개변수의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볼 수 있어요.

 

,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에서 매개변수가 매개효과를 갖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어요. 조금 더 결과를 자세히 살펴보고 싶다면, 조건부효과표를 같이 살펴보면 더더욱 좋아요.

이번 소식도 재미있으셨나요?


오늘 소개해드린 모델 4번은 매개효과를 분석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에요. 국내에서는 많이 사용되는 케이스 중 하나랍니다. 모델 4번은 매개변수가 2개 이상이어도 사용이 가능해요. 실제로 논문을 살펴보시다보면 매개효과와 조절효과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를 조절된 매개효과(Moderated Mediation)라고 하는데요. 프로세스 매크로를 통해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도 분석 가능하답니다. 천천히 소개해드릴게요.

 

프로세스 매크로는 활용할 수 있는 모델이 다양하니 공부하시면 분명 도움이 될 거에요. 다음 시간에도 PROCESS macro를 이용한 분석 방법을 소개해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