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와이즈인컴퍼니 : 토픽 스토리] 제12호 : 키워드(조직공정성)로 본 연구 동향

등록일

2025-02-14

조회수

3

지혜는 경험에서 나온다고 합니다. 와이즈인컴퍼니에선 좋은 경험이 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젝트 사례들을 주기적으로 보내드리고 있습니다. 받으시는 여러분의 사업과 업무에 지혜가 가득하길 바랍니다. 더 많은 솔루션을 원하신다면 와이즈인컴퍼니에 메일회신 또는 연락부탁드립니다.
토픽 스토리
 2025년 2월 2주차
 키워드(조직공정성)로 본 연구 동향

지혜는 경험에서 나온다고 합니다.

와이즈인컴퍼니에선 연구 논문을 바탕으로 연구자분들이 참고하실 수 있는 연구주제 관련 내용을 주기적으로 보내드리고 있습니다. 받으시는 여러분의 업무와 연구에 지혜가 가득하길 바랍니다.

더 많은 솔루션을 원하신다면 와이즈인컴퍼니에 메일회신 또는 연락부탁드립니다.

이번에 알아볼 키워드는 뭐야?

 

이번 주에 알아볼 키워드는 "조직공정성"입니다. 조직공정성에 대한 정의는 연구자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대표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 조직공정성은 구성원들이 조직에 대해 공정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으로 구분된다. (Moorman, 1991; McDowall & Fletcher, 2004).
  • 조직공정성은 조직구성원들이 조직내에서 실시하고 있는 모든 제도 및 의사결정이 어느 정도 공정하게 실시되고 있는지에 대한 지각이며(서재현, 1998; 김호균, 2007: 71), 조직보상이 얼마나 공정한가에 대한 주관적 판단이다(Greenberg & Colquitt, 2005; 양인덕, 2010: 307).

※ 참고문헌: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조직문화의 조절효과와 조직신뢰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해(윤우제, 2011)

조직공정성, 직무만족, 조직몰입, 혁신행동의 구조적 관계 분석:지방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김대욱,2016)

출처 : 네이버 뉴스
[뉴스 검색 결과]


22년 6월에 서울성모병원에서 진행한 조직공정성 연구 결과 발표에 대한 기사가 많네요! 해당 연구는 조직공정성이 높을수록 노동생산성 손실이 감소한다는 결과를 얻은 연구랍니다!


실제 연구도 기사 검색 결과와 동일한지 살펴보겠습니다!
관련 내용의 연구동향을 알아보자!

 

좋아요. 우선 조직공정성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펴 보겠습니다! 국내에서의 조직공정성에 관한 연구는 1993년에 발행된 학위논문이 시작이었습니다.(※ 국내학위, 학술 논문 중 한국어 제목에 “조직공정성”이 포함된 논문만을 대상(2024년 제외))

 

2014년부터 최근 10년간 조직공정성에 관해 발행된 학위, 학술논문의 수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국내학위, 학술 논문 중 한국어 제목에 “조직공정성”이 포함된 논문만을 대상(2024년 제외)
[최근 10년간 국내 학위, 학술 논문 발행 수]

조직공정성에 관한 논문은 매년 비슷한 비율의 정도로 발행되고 있어요. 큰 변동을 보이지 않으면서도 비슷한 비율로 쭉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는 것은 비록 유행적인 주제는 아니지만, 조직 내 공정성이 조직의 성과와 직원에 만족도에 미치는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그래서 어떤 키워드와 연관이 있는거야?


텍스트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서 말씀드릴게요. RISS에서 "조직공정성"을 검색하였을 때 나오는 논문 중 제목에 "조직공정성"이 포함된 국내논문만을 활용하여 텍스트 분석을 진행했습니다.

※ 국내학위, 학술 논문 중 한국어 제목에 “조직공정성”이 포함된 논문만을 대상(2024년 제외)

[워드클라우드와 네트워크 분석 결과]


워드클라우드부터 살펴보도록 해요. 언급 빈도 상위 200개의 단어만 추출해서 그렸습니다. "조직공정성"과 함께 가장 많이 언급된 것은 “조직시민”, “조직몰입임을 알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성과”, “리더십 등도 연구에 함께 사용되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답니다!

 

특히 눈에 띄는 부분은 직무만족 신뢰”, “이직의도인데요. 키워드만 봐도 조직공정성과 어떤 식으로 관련이 있을지 알 수 있을 것 같네요! 조직공정성이 높을수록 구성원들의 직무만족도가 높아지고, 조직에 대한 신뢰가 강화되죠! 그럴수록 구성원들의 이직의도도 낮아지겠죠? 반면 조직공정성이 낮을 경우 이직의도가 증가하며, 구성원들의 직무 만족도와 조직 내 신뢰도가 저하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짐작할 수 있어요.

 

 

다음은 네트워크 분석입니다. 언급 빈도가 높은 상위 10개의 단어를 추출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하였습니다.

워드클라우드에서 확인했던 것과 동일하게 "조직공정성"을 중심으로 "조직몰입" "조직시민"이 가까이 위치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더불어 "직무만족", "성과", "리더십"과 같은 단어들도 함께 등장하여, 이들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을 탐구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겠네요!

특히 “조직시민이라는 단어가 다른 주요 키워드에 가까이 위치하는 것은 조직 내에서의 조직시민과 조직공정성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데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음을 알 수 있어요.

분석 자료 출처 : RISS, 키워드 검색 결과

이번 소식도 재미있으셨나요?


간단한 텍스트 분석을 통해 조직공정성과 연관된 키워드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당연한 결과 아니야? 라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 사실 그렇지 않습니다< span style="font-size: 12.0pt;">. 분석 결과를 통해 예기치 못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도 있으니까요 !

 

상벌의 공정성을 잃은 지도자는 발톱과 이빨을 버린 호랑이와 같아서 뜻대로 움직일 수 없다.“ 한비자의 말처럼 공정성을 잃어버린 조직은 조직의 무기인 조직원들을 잃어버린 것과 같아요.


데이터분석에서도 공정성은 아주 중요한 요소랍니다. 공정성을 잃어버린다면 결과에 신뢰성 문제가 생길 수도 있어요. 그래서 항상 데이터를 정직하고 공정하게 분석하는게 중요하답니다!

저희 와이즈인컴퍼니에서는 항상 공정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보장하고 있어요

이번 소식도 모든 분들께 유익하고 흥미로운 시간이었길 바랍니다.

(주)와이즈인컴퍼니
서울시 강남구 언주로 309, 기성빌딩 3층 / 02-558-5144 / wic@wiseinc.co.kr